본문 바로가기
절세 팁

종합소득세 계산의 함정: 배당금 9,200만 원, 실제 납부세액은?

by 십원재테크 2025. 4. 18.
반응형


세전 배당금 9,200만 원을 받은 경우, 종합소득세 계산은 생각보다 복잡합니다. 많은 분들이 누진공제 적용을 오해해 과다 납부하는 경우가 많죠. 2024년 최신 세율을 반영한 정확한 계산법을 공개합니다.

종합소득세 계산의 함정: 배당금 9,200만 원, 실제 납부세액은?

직장인 배당소득 종합소득세 계산 가이드: 6,400만 원 배당 시 납부세액은?

 

직장인 배당소득 종합소득세 계산 가이드: 6,400만 원 배당 시 납부세액은?

연봉 6,000만 원인 직장인이 6,400만 원의 배당소득을 올렸을 때, 내년 5월에 납부해야 할 종합소득세를 단계별로 계산해드립니다. 복잡한 세율과 공제 항목을 명확히 이해하세요.1. 원천징수 확인:

10one.tistory.com

 


1. 원천징수 오해 바로잡기

배당소득 원천징수율은 15.4%(소득세 14% + 지방세 1.4%)입니다.

  • 잘못된 가정: 9,200만 원 × 22% = 2,024만 원 (X)
  • 정확한 계산:
    원천징수액 = 9,200 × 15.4% = 1,416.8만 원  
    과세표준 = 9,200 - 1,416.8 = 7,783.2만 원  

2. 단계별 누진세 계산

구간 계산식 세액
1,400만 원 이하 1,400 × 6% 84만 원
~5,000만 원 (5,000-1,400) × 15% 540만 원
~7,783.2만 원 (7,783.2-5,000) × 24% 668만 원
  • 총 산출세액: 84 + 540 + 668 = 1,292만 원

3. 누진공제 마법의 공식

세율 누진공제액 적용 공식
15% 126만 원 (과세표준 × 15%) - 126
24% 576만 원 (과세표준 × 24%) - 576
  • 실제 계산:
    7,783.2만 원 전체에 24% 적용  
    = 7,783.2 × 24% = 1,868만 원  
    누진공제액 차감 = 1,868 - 576 = 1,292만 원 (위 결과와 동일)  

4. 최종 납부세액

  • 종합소득세: 1,292만 원
  • 지방소득세: 1,292 × 10% = 129.2만 원
  • 원천징수액: 1,416.8만 원
  • 환급액: 1,416.8 - (1,292 + 129.2) = -4.4만 원
    4.4만 원 추가 납부 필요

5. 자주 하는 실수 3가지

  1. 원천징수율 오기재: 15.4% 대신 20%로 잘못 계산
  2. 누진공제액 역적용: 24% 구간에서 576만 원을 더하는 오류
  3. 소수점 누락: 0.2만 원 단위 미반영으로 인한 세액 차이

6. 전문가 팁

  • 자동계산기 활용: 홈택스 「종합소득세 간편계산」 서비스
  • 증빙관리: 배당금 지급결의서 원본 보관
  • 시기선택: 5월 신고 마감일 전 조기 환급 신청

결론: 세법은 정확한 숫자 게임입니다. 1%의 오차가 수십만 원 차이로 이어질 수 있으니, 디지털 도구와 전문가 자문을 적극 활용하세요. 배당소득이 있는 분들은 반드시 4월 중 예비 계산을 마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