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세 팁

20대에 보험 가입하면 돈 날리는 것 같은 보험 TOP 5

by 십원재테크 2025. 4. 12.
반응형

"건강한데 암보험 들어야 하나?", "월급에서 보험료만 빠져나가는데…"
20대는 경제적 기반이 약한 시기다. 월급의 10%를 보험료로 쓰다 보면 금융적 유연성을 잃기 쉽다. 그런데 보험 설계사들은 "미리 준비해야 한다"며 다양한 상품을 권유한다. 과연 어떤 보험이 진짜 낭비일까?

20대 필수 보험은?


🚫 낭비 1위: 복잡한 특약이 낀 실손보험

"도수치료·한방치료·치과 특약… 다 필요해요?"
실손보험은 필수지만, 불필요한 특약은 보험료만 잡아먹는다. 20대에게 특히 쓸모없는 특약은:

  • 도수치료 특약: 30대 이후 노동자에게 유용. 20대는 사용 빈도 극히 낮음
  • 해외치료비: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 급감. 유학생이 아니라면 쓸 일 거의 없음
  • 임신/출산 특약: 20대 초반 미혼이라면 당장 필요성 ↓

월 2만 원 특약 추가 = 연 24만 원 낭비
→ 10년이면 240만 원. 이 돈으로 ETF 투자 시 400만 원 이상 모을 수 있음

20대 암보험, 미리 가입할까? 고민 끝내는 현실 체크리스트

 

20대 암보험, 미리 가입할까? 고민 끝내는 현실 체크리스트

"건강한데 보험료만 나가는 거 아까워… 그런데 주변에선 꼭 들라고 하네?"20대 암보험 가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일까? 최근 20~30대 암 발병률이 10년 전 대비 22% 증가했다(국가암정보센터). 하지만

10one.tistory.com

 

 

 


🚫 낭비 2위: 저축형 보험 (종신/연금보험)

"노후를 위해 어릴 때부터 들어야 한다고?"
보험사의 전형적인 유혹. 하지만 20대에 종신보험은 최악의 선택이다.

  • 예시: 25세 남성, 월 10만 원 종신보험 가입 시
    • 30년 납입 후 예상 해지환급금: 약 3,600만 원
    • 동일 금액 S&P500 ETF 투자 시: 약 1억 2,000만 원 (연 7% 수익률 기준)

결론: "보험은 보장, 저축은 투자"를 철칙으로 삼아라.


🚫 낭비 3위: 차량 전액보험 (자차보험)

"100만 원 차에 50만 원 보험? 말이 되나"
중고차 시장에서 500만 원 이하 차량이 43%를 차지(2023년 기준). 이런 차량에 전액보험 드는 건 낭비다.

  • 현명한 선택:
    • 차량 가치 < 1,000만 원: 대인·대물만 가입
    • 차량 가치 ≥ 1,000만 원: 자기차량 50% 책임만 추가
  • 월 보험료 차이: 전액보험 12만 원 vs 책임보험 3만 원 → 9만 원/월 절약

🚫 낭비 4위: 단일 질병 보험 (암보험 등)

"암만 걸리지 않으면 된다고?"
암보험은 30대 이후 가입해도 보험료 차이 미미. 오히려 20대에 더 위험한 건:

  • 뇌혈관/심장질환: 20~30대 발병률 8년 새 34% 증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교통사고 사망률: 20대 남성 1위 사인 (통계청)

해법:

  • 암보험 대신 3대 중증질환(암·뇌·심장) 통합보험 선택
  • 월 5,000원대 상품도 많음

🚫 낭비 5위: 펫보험 (반려동물 보험)

"우리 강아지 병원비가 사람보다 비싸요"
2024년 기준 반려동물 1인 가구 320만 명. 하지만 20대 펫보험은 고려할 점이 많다.

  • 월 평균 보험료: 3~7만 원
  • 실제 청구율: 12% 미만 (대부분 예방접종만 사용)
  • 대안:
    • 매월 5만 원씩 반려동물 적립통장 운영 → 1년 후 60만 원
    • 중증 질환시 충당 가능

💡 20대 필수 보험 가이드

"이 3가지만 있으면 된다"

  1. 실손보험 (간소화 특약): 월 2~3만 원
  2. 상해보험: 월 5,000원 (교통사고·활동 중 사고 대비)
  3. 비상금 대출 가능 카드: 예비금 300만 원 한도

📊 보험 vs 투자, 어디에 집중할까?

구분 20대 초반 (20~24) 20대 후반 (25~29)
보험 실손+상해 실손+상해+중증질환
투자 글로벌 ETF 70% + 예금 30% 부동산펀드 50% + ETF 40% + 현금 10%
저축 월 10만 원 적금 월 30만 원 적립투자

🚨 보험 가입 전 체크리스트

  1. 월 보험료가 소득 7%를 넘는가? → 초과시 특약 삭제
  2. 해지환급금이 납입액 80% 미만인가? → 저축형 보험 의심
  3. 동일 보장 중복 가입인가? (예: 회사 단체보험과 개인보험)

결론: 20대 보험은 '심플함'이 최고

20대는 미래 투자에 집중해야 할 시기다. 보험은 "큰 위험"만 커버하고, 남은 자원은 성장을 위해 써야 한다. 월 10만 원 보험료를 5만 원으로 줄이고 5만 원을 투자하면 30년 후 1억 이상 차이가 난다.

TIP: 보험은 30대 들어도 늦지 않는다!
암보험 30세 가입시 월 8,000원 vs 25세 월 7,500원 → 5년간 30만 원 절약. 이 돈으로 코인베이스 주식 샀으면 2020~2024년 1,200% 수익 냈을 것.

보험 설계사가 권유하는 모든 상품이 필요한 건 아니다. "No"라고 말할 줄 아는 용기가 20대의 가장 강력한 재테크다.